몸에 좋은 건강음식 알려드려요.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몸에 좋은 건강음식을 먹는 것도 중요합니다. 어찌 보면 운동보다 건강음식 섭취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몸에 좋은 건강음식을 알려드립니다.
건강음식 현미와 콩
우리 식생활에서 쌀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정백한 백미에는 영양소가 부족하고 현미에 영양소가 풍부하다는 것은 기본 상식이 되었습니다. 백미를 먹다가 현미로 바꾸어 영양실조로 쇠약했던 몸을 회복하고 질병을 물리치는 데 효과를 거둔 사례가 많습니다.
현미는 신체에 필요한 성분을 빠짐없이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 영양공급의 균형을 갖게 해 줍니다. 동시에 현미는 좀 딱딱한 성질이 있어 오래 씹고 천천히 먹는 습관을 기르는 데에도 매우 도움이 됩니다. 항상 백미를 섭취하면 체질이 산성화 되고 저항력이 저하되어 여러 가지 질병을 얻기 쉽습니다.
현미를 동물에게 먹이면 성장이 좋아지는데 백미로는 잘 자라지 못한다는 실험 보고가 있습니다. 그래서 백미는 죽은 쌀이고 현미는 살아 있는 쌀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현미와 백미를 동시에 물속에 담가 놓으면, 백미는 썩어가는데 현미에서는 싹이 나온다고 합니다.
여성의 피부가 좋아지려면 역시 현미를 먹어야 합니다. 현미를 바로 먹기가 거북하면 백미와 섞어 밥을 짓든지, 콩, 좁쌀, 팥, 보리 등을 섞으면 구수한 밥맛이 구미를 당기게 합니다. 다음은 콩 종류를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콩은 밭의 고기라고 불립니다.
쇠고기와 콩 종류를 먹고 성장한 쥐를 물속에 던져 넣었더니 쇠고기를 먹고 성장한 쥐는 15분쯤 지나자 힘이 빠져 죽었지만 콩 종류를 먹고 성장한 쥐는 45분간이나 계속해서 헤엄쳐 다녔다는 실험 결과가 있습니다.
또 하나의 조사보고서를 보면 초등학교의 체육시간이나 운동회 때를 살펴보면 단거리에서는 생선을 먹고 있는 아이들이 강하고, 장거리에는 항상 콩밥을 먹고 있는 아이들이 앞섰다고 합니다. 콩을 먹는 아이들은 생선을 많이 먹는 아이들에 비해 장수하는 비율이 3배나 높다고 합니다.
이것은 식물성 식품이 인간의 영양공급에 월등히 좋다는 근거가 되는 사실입니다. 또한 콩 종류에는 레시틴이라는 물질이 많이 함유하고 있어 뇌의 기억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구실도 하고 있습니다.
건강음식채소와과일
현대인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식품으로 채소와 과일이 있습니다. 채소와 과일에는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각종 비타민류가다량 함유되어 있고 발암물질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비타민이 결핍되면 성장이 어려운 것은 물론 온갖 질병이 침입하는 계기가 됩니다.
그런데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성장시킨 채소나 온상에서 속성 재배한 채소는 모든 영양성분이 떨어져 있어 이것은 영양결핍을 가져오기 쉬운 요인이 됩니다.그러므로 퇴비를 거름으로 하여 자연농법으로 키운 채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옛 문헌을 살펴보면 채소는 언뜻 나쁜 음식이 될지 모르지만 달게 먹기만 하면 산해진미보다 낫다고 하였습니다. 어느 선비에게 닭 한 마리를 대접하려고 했더니, "어찌 선비로서채소를먹지않고모든일을할수있겠느냐.갖다버리라고해라"하고물리쳤다는일화가있습니다.
건강음식해조류
해조류 역시 뛰어난 식품입니다. 지구 상에서 생명체가 최초로 탄생한 곳은 바다입니다 그래서 바다는 생명의 고향이라고도 불립니다. 생명물질을 합성하는 촉매로 바닷속의 갖가지 광물질(미네랄)은 큰 역할을 했습니다. 바닷물에는 바다 밑의 온갖 광물질이 녹아 있으며 오랜 세월에 걸쳐눈비가 내리면서 육지의 온갖 광물질들이 녹아내려 바다로 모아졌습니다.
그러므로 바닷물은 풍부한 광물질 성분들이 뒤섞인 보고이며,여기서 자라난 해조류에는 몸에 유익한 온갖 미네랄과 비타민이나 단백질을 품고 있는 것입니다. 해조류에 가장 풍부한 미네랄은 효소계의활동에 필수적인 것으로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제된 고운 소금을 사용하지 말고 될수록바다의 천연소금으로 음식을 조리해줘야 무기질의 다양하고 풍부한 필수 영양소를 흡족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근해에서 자생하고 있는 해조류는 400여 종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중에는 50여 종만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 식용하는 해조류는 미역, 김, 파래, 다시마 등 10여 종뿐으로 퍽 제한되어 있는 현실입니다. 위에서 중요한 건강식품으로 언급한 것들은 모두 섬유질이 많은 음식입니다.
이 섬유질은 장 속의 해로운 물질이나 발암물질들을흡수하여 몸 밖으로 빨리 배설시키고 변비, 대장암, 동맥경화, 당뇨병, 담석증, 비만 등을 예방해주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과거에는 소화가 어려운 특수물질이라 하여 좋지 않은 것으로 여겨 왔으나 오늘날에는 건강 향상에 도움을 주는 훌륭한 음식이라는 것이 규명되었습니다. 구태여다양한영양식품을따질필요없이다양한종류의곡식,과일,채소의식용에충실하면됩니다.
고기섭취의득과실
가끔 허기를 메우고 힘을 더하기 위해 고기도 가끔 먹어 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고기를 즐기는 사람들은 그 기름으로 배를 채우고, 맛있고 연한 고기, 기름진 국물은 바로 내장을 썩히는 독약이라는 것을모르고 있구나 하며 탄식한 글귀가 있습니다.
이렇게 기름기 있는 고기를 많이 먹으면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고있다는 사실은 현대의학이 증명하고 있습니다. 그렇더라도 한 달에 한두 번씩은 입맛으로 육류를 즐기는 것이 좋으며 고기를 섭취함로써 힘을 얻는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다만 육류를 과도하게 섭취하여 인체활동에 필요한 영양분을 모두 공급받으려 한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한 것입니다. 육류를 먹으면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고 하는 이야기는 육류를 많이 소비하는 서구인들에 기준을 둔 자료입니다. 우리나라서민층의 육류 소비량은 아직 그런 단계는 아니라고 여겨집니다.
앞으로 육류 소비량이 폭증할 때에 일어날 그런 장애 요소를미리 예방하기 위한 경고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육류를 많이 섭취하는 것이 성인병의 원인이라는 이야기가 현대인들에게 공포심을 불러일으켜 육류 섭취를 완전히 기피해 버린다면왕성한 활동이 요구되는 현대사회에서 체력을 유지하는데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무엇을 먹으면 나쁘다 하여 피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손해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달걀을 먹으면 나쁘다고 이야기되는데 달걀을 4~5개 먹었다해도 경계대상이 되는 콜레스테롤은 1g도 채 되지 않으므로 그다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 몸에 좋다는 것만 찾아 먹다가는편식의 습관이 붙어 영양결핍이 됩니다. 꿀이나 로열젤리가 좋다 하여 이것만 자꾸 먹는다면 오히려 신체에 해로움을 가져오게 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년에 건강하기 위한 물섭취 상식 알려드려요. (0) | 2022.04.25 |
---|---|
불면증에 시달리는 분들은 필독 하세요. (0) | 2022.04.23 |
건강차를 마시는 방법 알려드려요. (0) | 2022.04.21 |
탄수화물 건강하게 먹는 방법 알려드려요. (0) | 2022.04.20 |
중년의 치과 질환 건강 상식 알려드려요.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