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귀에 대한 진실 알려드립니다.
방귀를 안 뀌는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방귀는 건강하다는 증거가 될 수도 있고 건강 이상의 신호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방귀에 대한 진실을 알려드리는 내용입니다.
방귀의 정의
항문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체로써 음식물과 함께 입을 통해 들어간 공기가 장내용물의 발효에 의해 생겨난 가스와 혼합된 것이다. 방귀의 성분은 이산화탄소, 에탄, 수소 등이며,이외에도황화수소, 암모니아,스카톨,인돌등이있다.방귀는필요 없는체내가스를몸밖으로배출하려는자연스러운생리현상이다
방귀의 양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장내에서 하루 500~4000cc의 가스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250~300cc가 방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장벽을 통해 혈관에 흡수돼 트림이나호흡할 때 몸 밖으로 빠져나간다. 일부는 간에 흡수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기도 한다.
건강한 젊은 남자의 경우 하루 평균 횟수는 14회 정도이며 최대 25회 까지는 정상으로 볼 수 있다. 방귀의 양은 입을 통해 위로 들어간 공기의 양에 의해 좌우가 된다. 음식을 빨리먹는 사람은 입을 통해 위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많아 지기 쉬우므로 방귀의 양도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식후 바로 잠을 자게 되면 방귀가 많아질 가능성이 높다. 위에서 음식물과 공기가 분리되려면식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한데 바로 눕게 되면, 위의 입구가 소화 중인 음식물로 막혀서공기가 트림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즉 사람이 서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가 트림으로 빠져나가는 한편,누워 있으면 공기가 음식과 함께 위의 출구에서 장으로 흘러 들어가 방귀가 되어 나오는 것이다.또한소화가잘되지않는음식을먹거나장의세균이많아지게되면장 내가스가증가해자주나온다.
그리고당뇨병에걸린경우에는,진통제를오래복용하게되어서장의기능이떨어지게되어방귀가많이나올수있다.
방귀 냄새&소리의 원인
방귀를 뀔 때 냄새가 나지는 않는데 속이 시원하다는 느낌을 받았을 때는 소화가 잘 된다는 증거다. 반면 악취가 진동하는 방귀가 계속되면 대장 기능에 문제가 생겼다는 신호일 수 있다.방귀의 주성분은 이산화탄소, 질소, 산소, 수소, 메탄 등 무색무취한 물질이지만,대장에 특정 세균이 있거나 육류 등을 먹게 되면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이 만들어져 악취가 난다.
장 내 가스는 소화가 더딘 음식을 먹은 뒤에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음식물이 소화가 덜 된 상태로 대장까지 도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발효가스가 생성된다. 방귀를방출할때나는소리는주로항문괄약근의진동때문이다.어느정도는의지로조절할수있다.
방귀와 질병
방귀는 장의 연동운동이 멈추거나 통과가 좋지 않을 때는 배출이 안 된다. 이 경우 방귀 방출의유무가 장폐색의 진단상 매우 중요하다. 또한, 개복 수술 후의 회복기에 장이 정상으로 움직이기시작하면 방귀를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되는 방귀는 수술 후의 장의 상태를 판단하는 중요한 생리현상이다.
방귀를 참게 되면 장내 질소가스가 쌓여 대장이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 때문에 대장의운동기능이 나빠지게 되어 변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만성 간경화 환자에게는 몸 안의 암모니아 가스가 몸에 좋지 않으므로 방귀 냄새가 지독할 경우간질환이 있는지 확인해 보아야 한다.
또 악취 나는 방귀가 수개월 지속되면서 설사가 잦거나변비가생기고이유없이배가심하게자주아프며몸무게가크게줄어들때는대장질환을의심해볼수있다.
장 내 가스를 줄이는 방법
한국인의 85%는 우유 등 유제품을 소화시키는 유당 분해효소가 적어 유제품을 먹으면가스가 많이 생기게 된다. 우유를 마실 때는 약국에서 유당 분해효소를 사서 넣어 마시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다. 가스를 많이 만드는 음식에는 콩, 보리, 현미, 고구마, 옥수수 등의 탄수화물 많이 함유된 음식이 있다.
당근, 자두, 건포도, 브로콜리, 양배추와 사과, 배도 마찬가지이다. 또 단맛을 내려고 빵이나 캔음료에 첨가되는 과당도 가스 생성을 촉진한다. 고지방, 섬유소가 적은 서양식 식사와 비만 등이 대장 질환을 유발하는 큰 원인이 된다.
따라서 대장의 건강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으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섬유질이 많은 정제되지않은곡류,신선한채소와과일을섭취하는것이중요하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중독 및 장염 정보 알려드릴게요. (0) | 2022.04.29 |
---|---|
눈 다래끼 완전 분석해드려요. (0) | 2022.04.28 |
손톱 건강의 척도입니다. (0) | 2022.04.26 |
말년에 건강하기 위한 물섭취 상식 알려드려요. (0) | 2022.04.25 |
불면증에 시달리는 분들은 필독 하세요.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