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다래끼 완전분석해드려요.
종종 눈다래끼에 걸리고는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치료가 되는 경우가 많아서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데 심해지면 역시나 큰 병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눈 다래끼 완전 분석입니다.
눈 다래끼 정의
눈꺼풀에는 몰 샘(Moll’s gland), 짜이스 샘(Zeis’ gland), 마이봄샘(Meibomian gland) 등의 여러 분비샘들이 존재한다.이 분비샘 중 짜이스 샘, 몰 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을 겉 다래끼라고 하고, 마이봄샘의 급성 화농성염증을속 다래끼(맥립종)라고한다.마이봄샘에생긴만성육아종성염증은콩다래끼(선립종)라고부르고있다.
눈 다래끼 원인
눈꺼풀의 분비샘은 눈물의 증발을 막아주는 기름 성분을 만들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배출이 지연되면서 기름 성분이 쌓이면서 분비샘에 염증이 생기고, 여기에 세균 감염이 함께 발생할 경우 겉 다래끼 또는 속 다래끼가 된다. 주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에 의해 잘 감염이 되고 있다.
콩다래끼는 세균 감염이 동반되지 않고 배출되지 않은 기름 성분에 의한 만성적인 육아종성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이 된다.
눈 다래끼 증상
겉 다래끼와 속 다래끼는 급성 세균 감염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므로 발적과 통증이 상대적으로 심하며 피하 또는 결막하에 농양이 형성된다. 겉 다래끼는 눈꺼풀의 가장자리가 부으면서통증이 생기고 해당 부위가 단단해져(경결) 압통이 심해진다.
시간이 지나면서 염증에의한 물질들이 피부로 배출(배농)이 된다. 속 다래끼는 겉 다래끼보다 깊이 위치하고,결막(눈꺼풀을 뒤집으면 보이는 빨간 점막 조직) 면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난다.콩다래끼는 눈꺼풀 가장자리 피부 밑에서 단단한 결절이 만져질 수 있으며발적이나통증등의증상은경미하거나거의없다.
눈다래끼 진단
병력 청취 및 시진이나 촉진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붓거나 통증을 동반한 눈꺼풀 가장자리의 결절이 있는 경우 눈 다래끼를 의심하게 된다. 양안 상-하안검을 모두 만져보고 서로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지, 만졌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지 진찰해본다.
눈꺼풀을 뒤집어 눈꺼풀 결막을 관찰하였을 때 노란 농양점이 나타나게 되면 속 다래끼로 진단할 수 있다. 콩다래끼는 결절이 만져지지만 발적이나 통증 등의 증상은 경미하거나 없을 때 진단할 수 있으며, 드물게 악성 종양 (피지샘 암) 등 다른 질환과 감별을 위해 병리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종종 있다.
눈다래끼 치료
눈 다래끼는 보통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좋아지지만 증상 완화를 위해더 운 찜질, 항생제 안약 및 안연고 점안, 항생제 복용 등을 할 수 있다. 눈에 항생제 성분이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약으로 먹는 항생제보다는 항생제 안약을 직접 눈에 넣는 것이 좋다.
농양이 형성되어 저절로 배농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절개해서 배농을 시켜야 한다. 콩다래끼는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을 경우 별다른 치료 없이 경과 관찰도 가능하다. 크기가 크거나 염증이 동반되면 치료가 필요하며 더운 찜질, 항염증 성분이 포함된 안약 및 안연고 점안 등의 보존적인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
빠르고 확실한 효과를 원할 경우 절개 후 내용물을 긁어내는 시술로 치료도 가능하며 병변에 스테로이드를 소량 주사하는 시술도 치료 효과가 있다.
눈다래끼 경과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지나 겉 다래끼 혹은 속 다래끼가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을 경우 주변 조직으로 감염이 확산되는 경우도 있다. 터지거나 절개하여 내용물이 제거되면치료가 빨리 되는데, 배농 되거나 절개한 위치에 따라 피부 또는 결막에 흉터가 남을 수 있다.
치료되지 않은 작은 콩다래끼가 계속 남아 있다가 음주나 과로 등의 요인으로 인해 커지면 염증이 재발할 수 있다.
눈 다래끼 예방방법
평소에 항상 손을 깨끗이 하고 눈을 함부로 만지지 말아야 한다. 눈을 만져야 할 경우에는 손을 깨끗이 씻은 후에 만져야 한다. 혹시라도자주콩다래끼가재발하는경우눈꺼풀분비샘의기름배출을돕기위해눈꺼풀을청소하는약제를사용해볼수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십견 제대로 알려 드립니다. (0) | 2022.05.01 |
---|---|
식중독 및 장염 정보 알려드릴게요. (0) | 2022.04.29 |
방귀에 대한 진실 알려드립니다. (0) | 2022.04.27 |
손톱 건강의 척도입니다. (0) | 2022.04.26 |
말년에 건강하기 위한 물섭취 상식 알려드려요.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