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빈혈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열정부자아빠 2022. 5. 7. 04:19
반응형

빈혈 자세하게 알려드립니다.

자리에 오랫동안 누워 있던 사람이 갑자기 일어서자 머리가 어지러워진다. 불과 몇 초간의 짧은 시간이 지나자 어지러움이 사라지고 정상으로 돌아와 일상생활에 아무 지장을 받지 않는다. 갑자기 머리가 어지러워진 원인은 아주 다양하다.

 

금세 증상이 사라져 정상을 되찾는 경우 어지러움과 함께 두통을 비롯한 다른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지 않았다면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같은 증상이 수시로 반복된다면 당연히 병원에 가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

빈혈 정의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 머리가 어지러워진다면 쉽게 의심할 수 있는 원인으로는 빈혈과 저혈압을 들 수가 있다. 빈혈은 피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현상이고, 저혈압은 실제로는 피가 부족하지는 않지만 피가 부족한 것처럼 느껴져서 생기는 현상이다.

 

자세를 바꿀 때 중력에 의해 혈액이 하반신으로 모이게 되는데, 정상적이라면 신경 반사 기구에 의해 혈압이 유지되지만, 신경 반사 기구에 이상이 생겨 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하면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때 저혈압으로 인한 어지러움을 쉽게 느끼게 된다.

 

산소 공급 기능에 이상이 생겨 조직 세포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를 빈혈이라 한다. 누워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머리가 어지러워진다면, 빈혈과 저혈압을 의심해야 한다. 빈혈은 적혈구가 담당하는 산소공급 기능에 장애가 생겨 조직과 세포에서 요구하는 만큼 산소를 공급해 주지 못함으로써 저산소증을 초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한자로는 貧血이라 쓰니 피가 부족하다는 뜻이 되지만, 의학에서는 피 전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피에 포함된 수많은 성분 중에서 적혈구가 부족한 경우 또는 적혈구가 부족하지 않더라도 산소공급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를 의미한다.

 

피에는 적혈구∙백혈구∙혈소판 등의 세포성분 외에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을 포함한 수많은 물질이 포함되어 있고, 기능 또한 매우 다양하다. 피에 문제가 생겼을 때 가장 신속히 나타나는 이상이 산소 운반 기능이므로 이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 피 전체에 문제가 생긴 것처럼 빈혈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고무줄로 팔을 감으면, 팔 아랫부분(손이 있는 방향)에 혈관이 울퉁불퉁 솟아오르면서 피부색이 파란색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혈관이 막힘으로써 동맥으로부터 산소공급을 받지 못한 부위에서 나타나는 산소부족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혈관 아랫부분이 썩어 들어가는 것이다.

 

헤모글로빈의 양이 기준에 못 미치면, 빈혈이라고 진단한다. 빈혈의 원인이 다양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적혈구 내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 양이 정상보다 훨씬 떨어져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헤모글로빈 양을 측정하여 빈혈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게 되는데 성별∙나이∙임신 여부에 따라 그 진단기준이 다르다.

 

정상적인 헤모글로빈 수치는 보통 15mg/dl 정도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진단기준을 살펴보면 6개월에서 6세까지의 어린이나 임산부의 경우 11mg/dl 이하, 임신을 하지 않은 여성과 6-15세 사이의 청소년들은 12mg/dl 이하 15세 이상의 남성은 13mg/dl 이하인 경우를 빈혈이라 진단한다.

빈혈 원인

빈혈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므로 원인에 따라 분류하면 종류가 아주 많아진다.
그러나 적혈구의 크기와염색시어떻게보이는가에따라분류하면다음의세가지로나눌수있다.


1. 적혈구의 크기와 염색 시 색소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대부분의 빈혈이 해당한다.
2. 적혈구의 크기가 작아지고 염색 시 색소가 감소되어 나타나는 경우:철 결핍성 빈혈이 대표적이다.
3. 적혈구의 크기가 커지고, 염색 시 색소 가정 상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거대 적아구성 빈혈이 대표적이다.
눈동자 주위나 손톱을 통해서 쉽게 빈혈을 진단할 수 있다


토끼눈이 빨갛게 보이는 것은 눈동자 흰 부분에 핏줄이 잘 발달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람도 평소에는 붉은색이 보이지만, 빈혈이 있으면 하얗게 보인다. 빈혈이 심한 경우에는 산소공급 부족에 의해 의식을 잃는 경우도 있다.

사고에 의해 출혈이 생기면, 산소 운반을 담당해야 할 적혈구가 몸 밖으로 빠져나가 빈혈이 발생하는 것이다.

 

출혈이 생긴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면, 의사는 얼마나 빈혈이 심한지(적혈구 손실이 얼마나 심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눈동자 주변을 살펴본다. 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눈동자 주변의 하얀 부위에 핏줄을 볼 수 있는데, 눈동자 주변이 하얗게 보인다는 것은 빈혈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빈혈이 생기면 혈관 속의 적혈구 양이 감소하여 헤모글로빈에 결합하는 산소의 양도 함께 감소하게 된다. 피가 빨갛게 보이는 것은 산소와 헤모글로빈이 많이 결합한 것을 나타내므로, 핏줄이 있는 부분이 빨갛지 않다는 것은 산소가 적게 결합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빈혈을 진단하기 위해 이런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의사가 아닌 흰자위를 처음 들여다보는 사람이 이 방법으로 빈혈을 판단하기는 어렵다. 다른 방법은 한쪽 엄지손가락으로 다른 쪽 엄지손가락의 손톱 윗부분을 눌렀다가 떼어보는 것이다.

 

손톱 뿌리 부분이 흰색인 것과 다르게 붉은색을 띠는 손톱 윗부분은 손가락으로 누르면 흰색으로 변했다가 손가락을 떼면 금방 원래의 색으로 돌아가야 정상이다. 손가락을 떼고 나서 1초 이내에 원래의 색으로 돌아가지 않고 손톱이 계속해서 흰색으로 남아있으면 빈혈을 의심해야 한다.

 

 

 

반응형